• 최종편집 2025-05-13(화)
 
  • ​"자연을 통해 존재를 묻다"


갤러리로고.jpg

 

김이훈 초대

"자연을 통해 존재를 묻다"

2025.5.21() ~ 5.30()

장은선갤러리 (서울시 종로구 운니동 19번지)

www.galleryjang.com (02-730-3533)

Open AM 11:00 ~ PM 6:00 (~)/ 일요일,공휴일 휴관

 

1.jpg
존재의 덧없음과 고귀함으로의 초대19, 117×80cm, Watercolor on canvas, Acrylic Supplements, 2024

 

[이코노미서울=김수미기자]50대 중견작가인 김이훈 선생은 자연 풍경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성찰한다.

 

2.jpg
존재의 덧없음과 고귀함으로의 초대17, 73×50cm, Watercolor on canvas, Acrylic Supplements, 2024

 

작가는 나무와 그 나무를 흔드는 바람을 그리는데 마치 비가 내리듯 빗금을 치는 역동적인 느낌을 화폭에 담고있다. 하늘 또한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그것은 상실된 원형의 세계이자 존재의 기원을 상기시키는 매개체다.

3.jpg
존재의 덧없음과 고귀함으로의 초대2, 72.7×60.6cm, Watercolor on canvas, Acrylic Supplements, 2024

 

감각적인 풍경을 통해 관념적 실재를 불러오는 작가의 방식은 플라톤의 '상기(想起)' 개념과도 닿아 있으며, 그림 속에는 언제나 흐름과 에너지가 생생히 깃들어 있다.

 

4.jpg
존재의 덧없음과 고귀함으로의 초대9, 72.7×60.6cm, Watercolor on canvas, Acrylic Supplements, 2024

 

빛과 물결, 리듬과 파장으로 표현된 생동감은 자연을 넘어 우주적이고 영적인 차원에 이른다. 하늘과 바다, 바람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모든 존재는 하나의 유기적 생명처럼 호흡하며 연결된다.

 

5.jpg
존재의 덧없음과 고귀함으로의 초대18, 60.6×50cm, Watercolor on canvas, Acrylic Supplements, 2024

 

작가는 그 안에서 바람 속에 홀로 선 자아를 투영한다. 이는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예술가의 결기이자, 자발적 고독의 상징이다.

 

6.jpg
존재의 덧없음과 고귀함으로의 초대12, 53×45.5cm, Watercolor on canvas, Acrylic Supplements, 2024

 

작가는 시간 또한 단선이 아닌 다층적인 흐름으로 바라본다. 과거와 현재, 각성과 몽상이 중첩된 풍경 속에서 인간 존재는 언제나 '가능성의 시간' 위에 놓인다.

 

7.jpg
흐르는 것은 흐르지 않는 것들의 명제이다(34), 116.8×91cm, Watercolor on canvas, Acrylic Supplements, 2022

 

작가의 예술은 자연을 통해 존재를 묻고, 감각 너머의 근원적 에너지와 기억을 불러오는 시도이다. 그의 하늘은 우리 안의 하늘을, 그의 바람은 우리 마음 깊은 떨림을 일으킨다.

 

8.jpg
2023 길위의 연인1, 49×65cm, Watercolor on paper, 2023

 

나뭇잎이 연둣빛 웃음을 머금은 5,

 

9.jpg
2023 길위의 여인2, 22.5×48.5cm, Watercolor on paper, 2023

 

하늘과 바람 속에 존재의 본질과 예술의 이유를 묻는 회화 30여 점이 장은선 갤러리에서 펼쳐진다.

 

김이훈 작가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장은선 갤러리를 비롯한 개인전 24, 그룹전 50여 회에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작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에도 소장되어 있다.

갤러리약도.png

 

태그

전체댓글 0

  • 0185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이훈 초대전/장은선갤러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