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31(목)

뉴스
Home >  뉴스  >  경제

실시간뉴스
  • LX하우시스,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개발
    LH 공동주택 시공현장 바닥충격음 성능 인정 1등급 획득 LH의 ‘2024 고성능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기술 공모’ 참가, 공동주택 시공현장 두 곳서 실시한 성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등급 획득 참가업체 중 중량∙경량 충격음 모두 1등급 획득한 업체는 LX하우시스가 유일 [이코노미서울=김시남기자] LX하우시스가 우리나라의 큰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층간소음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를 개발했다. 이와 관련 LX하우시스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동주택 시공현장 두 곳(84㎡/55㎡ 세대)에서 실시한 바닥충격음 성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성능 평가는 LH의 ‘2024 고성능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기술 공모’에 참가한 업체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4월부터 12월에 걸쳐 실시됐으며, 참가 업체 가운데 바닥충격음 평가항목인 중량충격음과 경량충격음에서 모두 1등급을 획득한 업체는 LX하우시스가 유일하다. LX하우시스는 이번 공동주택 현장 성능 평가에서 중량충격음 36dB, 경량충격음 32dB를 기록, 아래 층에 전달되는 소음이 37dB 이하일 때 받을 수 있는 1등급을 받았다. 특히 LX하우시스가 획득한 바닥충격음 수치는 시험기관의 시험실이 아닌 실제 공동주택 현장에서 진행된 층간소음 실증 결과여서 국내 건설 및 건축자재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2022년 8월 아파트 완공 이후에도 층간소음을 측정해 기준치(49dB 이하)를 충족하지 못하면 보완시공 및 손해배상 등을 권고할 수 있는 ‘층간소음 사후확인제’를 도입하면서 고성능 바닥구조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업계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다. LX하우시스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는 슬라브(210mm) 위에 우레탄폼의 완충재와 중량 모르타르가 적용된 구조다. 우레탄폼 완충재(50mm)와 중량 모르타르(60mm)를 총 110mm 구조로 설계, 기존 아파트의 바닥 마감층 두께와 동일해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바닥 충격음을 줄였다. 특히 LX하우시스가 자체 개발한 고성능 우레탄폼 완충재는 소음 저감과 충격 흡수에 뛰어나 사람이 걷거나 뛸 때 저주파 진동으로 전달되는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준다. 한편 LX하우시스는 2004년 국내 PVC바닥재 업계 최초로 층간소음(경량충격음) 저감 기능성을 갖춘 ‘소리잠’ 바닥재를 출시한 이래 층간소음 저감에 도움을 주는 바닥재와 매트 등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오고 있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01-16
  • KB국민은행, 오는 3월부터 빗썸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 오픈 예정
    오는 20일부터 KB국민은행 계좌를 미리 등록할 수 있는 ‘사전오픈 서비스’실시 임베디드금융으로 안전한 가상자산거래 지원 및 KB스타뱅킹을 통한 고객의모바일 편의성확대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이 오는 3월 24일부터 가상자산거래소 빗썸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를 오픈한다. ‘실명계정’은 동일금융회사 등에 개설된 가상자산사업자의 계좌와 그 가상자산사업자의 고객 계좌 사이에서만 금융거래 등을 허용하는 계정으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휴은행은 거래소와 거래자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한다. 지난 10일 가상자산사업자 빗썸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제출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서비스 제휴은행 변경 신고’에 대한 수리가 완료됐다. 따라서 3월 24일부터 빗썸을 이용하는 고객은 KB국민은행의 계좌를 통해서만 가상자산 거래가 가능하게 됐다. 이에 앞서, 1월 20일부터 KB국민은행 계좌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는 ‘사전오픈 서비스’를 실시해 빗썸 이용 고객의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도울 예정이다. KB국민은행은 임베디드금융을 통해 빗썸의 안전한 가상자산거래를 지원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과 자금세탁방지시스템을 구축했고, 대표 플랫폼인 KB스타뱅킹을 활용해 고객들의 편리한 모바일 금융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01-14

실시간 경제 기사

  • KB국민은행, 삼성화재와 ‘외국인 고객 금융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체결
    KB스타뱅킹에서 삼성화재 ‘외국인 근로자 전용 보험’ 조회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가능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은 지난 15일 삼성화재(대표이사 이문화)와 ‘외국인 고객 금융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는 최재봉 삼성화재 일반보험 부문 부사장, 송용훈 KB국민은행 기업 고객그룹 부행장 및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외국인 근로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삼성화재 출국만기보험, 귀국 비용 보험, 상해보험을 KB스타뱅킹 앱에서 간편하게 조회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우선 7월 말부터 KB스타뱅킹에서 ‘외국인 근로자 전용 보험’ 계약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후 3분기 중에는 보험금 청구 기능도 추가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외국인 고객은 보험 계약 조회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이번 협약은 외국인 고객의 금융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앞으로도 양사는 협업을 통해 외국인 고객 대상 금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07-18
  • 현대자동차 ‘2026 ST1’ 출시
    [이코노미서울=서규웅기자] 현대자동차가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 ST1의 상품성을 강화하고 경제형 트림을 추가한 연식 변경 모델 ‘2026 ST1’을 16일 출시했다. 현대차가 지난해 출시한 ST1은 76.1kWh 배터리가 탑재돼 카고 기준 317km, 카고 냉동 기준 298km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갖췄으며, 350kW급 초고속 충전 시스템을 기반으로 배터리 용량의 10%에서 80%까지 20분 만에 충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는 기존 고객의 목소리를 반영해 2026 ST1 스마트 트림에 1열 선바이저 거울·동승석 어시스트 핸들·동승석 카매트를 기본 적용하고, 기존 ‘컨비니언스’ 선택 사양에 동승석 열선/통풍 시트를 새롭게 추가해 편의성을 더욱 높였다. 이와 함께 현대차는 고객의 구매 부담을 낮추기 위해 2026 ST1 카고 모델에 경제형 트림인 ‘스타일’을 새롭게 추가했다. 카고 스타일 트림은 기존 ST1 스마트 트림보다 가격을 106만원 낮췄음에도 12.3인치 클러스터, 10.25인치 내비게이션, 전동식 파킹브레이크(오토홀드 포함), 전/후방 주차 거리 경고, 실내 V2L 등 고객 선호도가 높은 편의 사양이 적용돼 고객에게 쾌적한 이동 환경을 제공한다. ST1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OS) 기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탑재돼 고객 맞춤형 업무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췄다. 현대차는 2026 ST1에 차량용 물류 앱 ‘센디’를 신규 적용해 고객에게 더욱 최적화된 업무 편의성을 제공한다. 현대차 ST1에 탑재되는 센디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은 AI 기술로 공차율(빈 차로 주행하는 비율)을 최소화하고, 최적 운송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업무 편의성과 수익성을 함께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2026 ST1의 가격은 카고 △스타일 5874만원 △스마트 6040만원 △프리미엄 6418만원, 카고냉동 △스마트 6875만원 △프리미엄 7253만원, 샤시캡 △스마트 5655만원, 하이탑 △스마트 5800만원이다(※ 친환경차 구매 보조금 혜택 전). 현대차는 카고 스타일 트림 기준 최소 1510만원 ~ 최대 2457만원의 전기화물차 최고 수준 정부 및 지자체 보조금, 소상공인 추가 보조금 360만원 및 영업용차 부가세 환급 534만원 등을 고려할 경우 고객의 실구매 부담은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자체별 보조금 상이, 지자체 보조금 최대 지원 기준). 한편, 현대차는 2026 ST1 출시를 기념해 7년 이상 노후차 보유 고객을 대상으로 소형상용차 보유 고객에게는 50만원, 그 외 차량 보유 고객에게는 30만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현대차 홈페이지 참조). 현대차는 ST1은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특화 신기술 및 신사양을 갖추고 우수한 총보유비용으로 고객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현대차는 고객 목소리를 세심하게 반영해 상품성을 높인 2026 ST1이 고객의 업무 효율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07-16
  • iM뱅크, 한국씨티은행 고객 전환 업무협약 체결
    오프라인 영업점·온라인 비대면 원활한 고객 연결 위한 지원 대출 금리 우대, 수수료 면제 혜택… 기프티콘, 상품권 증정 이벤트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iM뱅크(아이엠뱅크, 은행장 황병우)는 16일(수) iM금융센터에서 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과 고객 편의 제고를 위한 업무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국씨티은행(이하 씨티은행) 소매금융 고객의 금융서비스 이용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로, 양사는 전담 창구 설치, 맞춤형 상품 구성, 디지털 채널 연계 등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하는데 협의했으며 오는 7월 21일(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먼저 오프라인 점포를 찾는 고객을 위해 ‘인근 영업점 페어링(pairing)’을 진행하는데, 서울, 부산, 대구 등 전국 9개 지역에 각 사의 영업점을 매치해 원활한 이전 지원을 진행할 방침이다. 현재까지 확정된 페어링 영업점은 서울, 인천, 충북, 대구, 부산 등 7개 지역으로 씨티은행과 페어링 영업점으로 지정된 점포에서 전용 장구 표식을 설치해 전용 업무를 진행하는 등 양 지점 간 핫라인 연결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비대면 고객에게는 디지털 기반의 원스톱 절차를 마련해 신원 인증부터 상품 가입까지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채널별 맞춤형 전환 서비스를 지원하며 금융상품 혜택도 다양하게 마련했다. 대출 상품에는 금리 우대와 함께 인지세 및 중도상환수수료 면제가 적용되며, 전용 입출금통장 가입 시 우대금리와 이체 수수료 등의 각종 수수료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또한 주요 외화 매매 및 송금 시 최대 90%의 환율 우대가 제공된다. iM뱅크(아이엠뱅크)와 씨티은행은 금번 협약을 기념해 실질적인 업무 제휴가 실시되는 7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3개월간 ‘Your Citi, NEW iM’ 캠페인을 실시한다. 기존 씨티은행 고객은 iM뱅크(아이엠뱅크) 앱 신규 및 상품 가입 시 이벤트 페이지에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응모권 개수에 따라 스타벅스 기프티콘, 신세계 상품권 등을 추첨 증정하며 최대 6개의 응모권을 모두 모은 고객은 자동으로 신세계 10만원 상품권(추가 100명) 추가 증정하는 이벤트에 자동 응모된다. 씨티은행은 고객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거래 은행 이전을 지원하기 위해 iM뱅크(아이엠뱅크)와 소비자금융 업무 제휴를 체결하게 됐으며, 앞으로도 씨티은행은 철저한 내부통제와 직원 교육을 통해 은행이용자보호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iM뱅크(아이엠뱅크)는 이번 협약이 ‘금융소비자 보호’의 공통 가치를 바탕으로 고객의 금융서비스 연속성을 지키기 위한 iM뱅크(아이엠뱅크)와 씨티은행의 상생 협약으로 뜻깊다며, 시중은행으로의 전환 이후 지역을 넘어 전국 고객과 연결되고 있는 iM뱅크(아이엠뱅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씨티은행 고객에게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iM만의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07-16
  • 기아 ‘The 2026 쏘렌토’ 출시
    [이코노미서울=서규웅기자] 기아가 국내 대표 중형 SUV 쏘렌토의 연식 변경 모델 ‘The 2026 쏘렌토’를 14일(월)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 The 2026 쏘렌토는 첨단 운전자 보조 사양이 강화되고 실내외 디자인 고급스러움이 향상돼 전반적인 상품성이 높아진 것이 특징이다. 기아는 The 2026 쏘렌토의 모든 트림에 차로 유지 보조 2와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를 기본 적용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고객 선호도가 높은 기아 디지털 키 2와 터치 타입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을 인기 트림인 노블레스부터 기본화해 실용성을 한층 높였다. The 2026 쏘렌토는 새로운 디자인의 4스포크 스티어링 휠이 탑재됐으며, 앰비언트 라이트가 1열 도어 맵포켓까지 확대 적용돼 실내 고급스러움이 더욱 향상됐다. 기아는 The 2026 쏘렌토 하이브리드 모델에 세련된 디자인의 19인치 신규 휠을 추가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다. 이번에 추가된 19인치 휠은 시그니처 트림부터 선택 가능하며, 2WD 모델의 경우 19인치 휠 선택 시에도 친환경차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기아는 기존 그래비티 트림의 명칭을 ‘X-Line’으로 변경하고, 블랙 색상의 엠블럼과 휠캡을 추가해 디자인 특화 트림 X-Line만의 강인한 느낌을 극대화했다. The 2026 쏘렌토의 판매 가격은 2.5 가솔린 터보 모델 △프레스티지 3580만원 △노블레스 3891만원 △시그니처 4168만원 △X-Line 4260만원이며, 2.2 디젤 모델 △프레스티지 3750만원 △노블레스 4061만원 △시그니처 4338만원 △X-Line 4431만원이다.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2WD 모델은 △프레스티지 3896만원 △노블레스 4217만원 △시그니처 4467만원 △X-Line 4559만원이며, 4WD 모델은 △프레스티지 4225만원 △노블레스 4546만원 △시그니처 4795만원 △X-Line 4888만원이다(※ 개별 소비세 3.5% 기준,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2WD 모델은 친환경차 세제 혜택 반영 기준). 기아는 쏘렌토는 우수한 상품성을 바탕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국내 판매 1위를 기록하며 베스트셀링카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며, The 2026 쏘렌토는 한층 강화된 상품성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더욱 큰 만족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07-15
  • [심진섭의 금융권소식]
    IBK기업은행, 행안부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 최종 선정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지난 13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5년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참여기업’ 공모에서 모바일 신분증 참여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에서 보안수준, 개인정보 보호 방안, 신뢰성, 장애 대응 체계 등 각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참여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모바일 신분증은 개인 스마트폰에 안전하게 저장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분증으로 실물 신분증과 동일하게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국가가 공인하는 수단이다. 기업은행은 내년 3월 시스템을 구축하고 하반기에 모바일뱅킹 i-ONE Bank를 통해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하나은행, 2025년 상반기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 달성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2025년 상반기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하나은행 퇴직연금 적립금은 전년 말 대비 2.4조원이 증가한 42.7조원으로, IRP 1조7383억원과 DC 6939억원 증가 등에 힘입어 은행권 퇴직연금사업자 중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 하나은행은 2023년과 2024년에 2년 연속 全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한 것은 물론 2024년 개인형 IRP와 확정기여형(DC)의 원리금비보장상품의 연간 운용 수익률 부문에서도 은행권 1위를 기록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이러한 꾸준한 성과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손님맞춤형 연금자산 서비스 제공의 결과다. 하나은행은 지난 3월 금융권 최초로 AI 기반의 ‘로봇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를 개시했고, 4월에는 은행권 최초로 맞춤형 투자 포트폴리오를 카카오톡으로 제공하는 ‘하나MP(Model Portfolio) 구독서비스’ 출시 등 가입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연금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다. 또한 업계 최초로 1억 이상 연금 VIP 손님을 위한 전문 상담센터인 ‘연금 더드림 라운지’를 운영 중이며, 올해 7월 말부터는 ‘연금 더드림 라운지’에 방문하기 어려운 손님들을 위해 직원이 직접 찾아가는 ‘움직이는 연금 더드림 라운지’를 도입해 손님과의 접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우리은행, 행안부 모바일 신분증 참여기업으로 선정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이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가 실시한 ‘2025년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 공모’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모바일 신분증은 ‘유연한 실용정부’를 지향하는 정부 정책 기조에 따라 행안부에서 공공 데이터를 민간 서비스에 개방·확산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추진됐다. 정부가 발행하는 공식 디지털 신분증으로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우리은행은 보안 및 인증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로부터 △보안 수준 △개인정보 보호 방안 △신뢰성 △장애 대응 체계 △활성화 계획 등의 평가를 거쳐 참여기업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과 민간 금융권을 연결하는 핵심 디지털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앞으로 우리WON뱅킹 內 우리WON지갑을 통해 모바일신분증을 직접 발급할 수 있으며, 금융거래는 물론 관공서, 의료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원확인이 가능해져 국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우리은행은 △모바일 운전면허증 실명확인 서비스 △국가보훈등록증 비대면 거래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을 도입한 바 있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07-15
  • KB리브모바일 ‘KB스타뱅킹 전용 요금제’ 출시
    KB리브모바일 ‘KB스타뱅킹 전용 요금제’ 출시 KB스타뱅킹에서 간편하게 가입 가능… ‘KB 해킹 보호 3종 서비스’ 무료 제공까지 7월 가입 시 통신 요금 할인 및 최대 8만 포인트리 혜택 제공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의 KB리브모바일이 KB스타뱅킹을 통해 가입할 수 있는 ‘KB스타뱅킹 전용 요금제’를 출시했다. 해당 요금제는 월 1만원대의 중용량 데이터 요금제로 LG U+망 2종 및 KT망 1종으로 구성돼 있으며, KB스타뱅킹을 이용해 개통 절차를 간소화해 빠르고 간편하게 가입이 가능하다. KB스타뱅킹 전용 요금제 가입 고객은 24개월간 매월 5~10GB의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보이스 피싱 예방 △피싱 보험 △통신비 보장보험 ‘KB 해킹 보호 3종 서비스’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7월 내 신규 가입 고객에게는 12개월간 총 5만원 상당의 KB 스타클럽 최고등급(VVIP)과 동일한 요금할인 혜택이 제공되며, 통신비 자동 납부 및 혜택 정보 안내 수신 동의 등을 통해 가입자별 최대 8만 포인트리도 받을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1300만 명이 이용하는 KB스타뱅킹에서 통신 상품도 쉽게 가입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차별점이며 앞으로도 금융과 통신이 결합된 고객 중심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나은행 ‘퇴직연금 ETF’ 판매 잔고 2조원 돌파 은행권 최초 ‘퇴직연금 ETF’ 도입 이후 3년 8개월 만에 판매 잔고 2조원 달성 2024년 11월 판매 잔고 1조원 달성 후 8개월 만에 2조원 달성 쾌거 엄격한 상품 선정 및 철저한 사후관리, 분할매수 시스템 등 거래 편의성 개선 8월 ‘하나원큐’ 내 ETF 상품 구성 종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화면으로 개편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2021년 11월 은행권 최초로 선보인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의 판매 잔고가 3년 8개월 만에 2조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특히 하나은행 퇴직연금 ETF 판매 잔고는 지난 2024년 11월에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후 불과 8개월 만에 2조원을 달성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퇴직연금 ETF’는 가입자들이 본인의 적립금을 상장지수펀드에 투자해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가 가능해 손님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자산의 장기 수익률을 개선하고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매우 엄격히 투자상품을 선정하고 있다. 이러한 엄격한 상품 선정 절차를 지키면서 2024년 4분기 이후 50여 종의 ETF 상품을 추가 라인업해 현재 159개의 ETF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손님 니즈와 장기투자에 유효한 상품을 적극적으로 공급한 것이 판매 잔고 급증으로 이어졌다. 특히 국내에서 가입 가능한 800여 종의 ‘퇴직연금 ETF’ 중 위험 대비 수익률, 보수, 외부 펀드 평가기관의 평가등급 등 다양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ETF 상품을 선별해 판매하고 있다. 또한,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해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운용성과 등 경쟁력이 열위한 상품은 판매를 중단하는 등 엄격한 사후관리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가입 손님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매월 ‘ETF 가이드북’ 제공을 통해 손님에게 ETF 관련 최신 정보를 제공 △분할매수 시스템을 도입 △적립식 매수 서비스 제공 등 거래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왔다. 8월 중 ‘하나원큐’ 앱에서 ETF 상품 구성 종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화면 구성을 변경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하나은행은 지난 3월에 금융권 최초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운용 서비스’를 개시한 데 이어, 4월에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카카오톡으로 제공하는 ‘하나 MP 구독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포트폴리오 투자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연금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은행 연금사업단은 손님의 소중한 연금 자산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모든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연금 전문 1등 은행’ 답게 손님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하나은행은 2025년 1분기 말 기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총 4개 부문(적극 투자형·중립 투자형·안정 투자형·안정형) 중 3개 부문인 적극 투자형·중립 투자형·안정 투자형 연간 수익률이 모두 은행권 1위를 달성하면서 우수한 수익률 성과를 거둔 바 있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07-10
  • HD현대인프라코어, K2 전차 엔진 923억원 대규모 수주
    독자 개발 1500마력 엔진, 세계 시장서 기술·경제성·공급 경쟁력 입증 지난해 12월, 방산·초대형 엔진 공장 착공… 신성장 동력 확보 나서 [이코노미서울=변재신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K2 전차용 대규모 엔진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독자적인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입증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최근 방위사업청과 총 923억원 규모의 K2 전차 엔진(DV27K)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화)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HD현대인프라코어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방위사업청에 단계적으로 엔진을 납품할 예정이다. 이 엔진은 주요 방산국의 주력 전차 엔진과 동급 출력인 1500마력으로, 56톤(t)급 K2 전차를 최대 70km/h로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를 활용해 압축한 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밀어 넣는 설계로 출력과 연소효율을 극대화했고, 최적의 구조설계를 통해 진동을 줄이면서 동력을 고루 전달할 수 있어 전장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의 K2 전차 엔진은 기술력과 경제성은 물론,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동급의 고속·고출력 엔진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실전에 배치한 국가는 미국, 한국, 독일, 프랑스 등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전차 엔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10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2014년 K2전차 엔진 국산화에 성공했고, 2019년부터 방위사업청에 K2 전차 엔진을 단독 공급해 왔다. HD현대인프라코어 김중수 엔진 사업본부장은 “이번 K2 전차 엔진 수주는 HD현대의 방산 기술력과 신뢰성을 다시 한번 증명한 결과”라며 “대한민국 방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기술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HD현대인프라코어는 지난해 12월 1412억원을 투자해 군산과 인천에 방산·초대형 발전용 엔진, 배터리팩 공장을 착공하는 등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07-08
  • ‘으뜸효율 가전 10% 환급 혜택’ 삼성스토어에서 쉽고 편하게 만나보세요
    으뜸효율 가전 구매 시 10% 환급에 더해 최대 10% 추가 혜택 제공 냉장고·에어컨·세탁기 등 총 11개 품목, 198개 으뜸효율 가전 보유 [이코노미서울=전영구기자] 삼성스토어가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 고객 대상으로 정부 환급 혜택 10%에 더해 최대 10% 상당의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 비용 환급사업’은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시 1인당 최대 30만 원까지 구매 금액의 10%를 환급해주는 정부 지원 제도다. 환급 대상 품목은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제습기 △진공청소기 △식기세척기 △TV 등 총 11개며, 삼성스토어에서는 총 198 개의 환급 대상 으뜸효율 가전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삼성스토어는 고객이 환급 혜택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전문 매니저의 맞춤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은 제품 구매부터 에너지효율 라벨 및 제품 명판 촬영 방법, 구매인증서류 발급 후 실제 환급 신청까지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삼성스토어에서는 다양한 으뜸효율 가전과 AI 제품을 한자리에서 체험하고, 라이프스타일과 주거 환경에 맞는 최적의 제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삼성스토어는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 고객을 위해 다양한 추가 혜택도 마련했다. 삼성스토어닷컴에서 ‘전국민 쿠폰팩’ 이벤트 신청 후 300만 원 이상 구매 시 30만 원 상당의 사은품을 증정한다. 또한 새로운 갤럭시와 으뜸효율 가전을 동시에 구매하면 최대 30만 상당의 혜택을 제공한다. ※ 행사모델에 한함. 삼성전자 멤버십 고객에 한함 ※ 본 행사는 당사의 사전 예고 없이 변경 및 종료될 수 있음 삼성스토어 고객마케팅팀 김명훈 상무는 “환급 사업은 정부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는 만큼 늦기 전에 삼성스토어를 방문해 고효율 가전 구매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 바란다”며 “구매 전에는 AI 가전 체험과 환급 대상 제품 여부에 대한 전문 상담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린다”고 전했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07-08
  • [심진섭의 금융소식]
    BNK부산은행, 주택금융공사와 커버드본드 지급보증 업무협약 체결 7/8 한국주택금융공사 본점에서 협약식 체결 지역은행 중심의 주택금융 협력 사례 확대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실질적 금융지원 기대 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은 8일(화) 오후, 문현동 한국주택금융공사 본점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커버드본드 지급보증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 내 장기·저리의 주택금융 조달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 ‘커버드본드’는 금융회사가 보유한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장기·고정금리 채권이다. 특히 안정적인 자금 조달 수단이자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커버드본드 지급보증 제도’가 혁신 금융서비스로 지정된 이후, 주로 시중은행 중심으로 운영되던 구조에서 지방 금융기관으로의 본격적인 확산을 알리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부산은행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지급보증을 기반으로 커버드본드 발행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주택금융 공급 체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실수요자 중심의 금융지원 확대, 지역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 가계의 금융 부담 완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식에 참석한 부산은행 방성빈 은행장은 “경기 침체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특히 부산 지역 중소기업과 가계는 실질적인 금융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이번 협약이 지역 주택금융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부산은행은 지역 대표 금융기관으로서 지역의 미래와 함께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은행은 지방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 채권을 발행한 데 이어, 이번 커버드본드 지급보증 협약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혁신 금융 서비스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IBK기업은행 ‘소상공인 비즈플러스’ 카드 출시 보증서를 기반으로 신용카드 한도 제공… 연회비, 보증료 부담 없이 최대 1000만원까지 이용 가능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오는 14일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정책과 연계한 정책 상품인 ‘소상공인 비즈플러스’ 카드를 금융권 단독으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소상공인 비즈플러스’ 카드는 보증서를 기반으로 신용카드 한도를 부여하는 기업 카드로 보증료, 연회비 등 금융비용 부담 없이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을 지원한다. 카드 발급 대상은 전국 지역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특례보증서를 발급받은 개인사업자이며 이용 한도는 최대 1000만원, 이용 기간은 특례보증서 만기에 맞춰 1년씩 연장해 최대 5년이다. 기업은행은 소상공인의 원활한 자금 운용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 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 및 3% 캐시백(카드 발급 첫 해, 최대 10만원) 이벤트도 진행한다. 카드 발급은 기업은행 영업점, IBK카드앱, i-ONE Bank(기업)를 통해 가능하다. 기업은행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성장을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신한금융지주회사,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5억달러 발행 5년 만기 고정금리 채권, 동일 만기 미국 국채 금리에 0.63%p 가산한 연 4.597%로 발행금리 확정 미국 관세정책 유예 종료 시점을 앞두고 선제적 외화채권 발행 성공 신한금융지주회사(회장 진옥동)는 7일 해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5억달러(한화 약 6839억원) 규모의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공모발행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선순위 외화채권은 5년 만기 고정금리 채권으로, 발행금리는 미국 국채금리에 0.63%p를 가산한 연 4.597%로 확정됐으며 기 발행 외화채권에 대한 차환을 위해 발행됐다. 신한지주는 미국 관세정책 유예 종료 시점이 임박함에 따라 시장 불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외화채권 발행 수요예측에 나서 목표 발행 금액을 달성했으며, 올해 발행된 민간 금융회사의 동일 만기 한국물(Korea Paper) 중 최저 스프레드라고 설명했다. 채권 발행을 앞두고 아시아와 유럽의 주요 투자기관들을 직접 방문해 투자설명회를 진행했으며, 우량 발행사에 대한 높은 투자 심리를 바탕으로 총 130여 곳의 투자자가 모집 금액 대비 최대 6배에 달하는 약 30억달러 규모의 투자 의향을 밝혔다. 신한지주는 미국 관세정책 여파 및 지정학적 리스크가 이어지는 가운데 탁월한 재무성과와 해외 투자자와의 두터운 신뢰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발행을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발행에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아그리콜 △비엔피파리바증권 △HSBC증권 △미즈호증권 △스탠다드차타드가 공동 주간사로, 신한투자증권이 보조 주간사로 참여했다. KB국민은행, 키움증권과 외환 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외화 현찰 지급 서비스부터 트래블러스 체크카드 연결까지… 증권 고객의 외환 서비스 접근성 제고 KB국민은행과 키움증권, 금융 전문성을 바탕으로 은행·증권사 간 연계 서비스 확대 예정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은 7일 키움증권(대표이사 엄주성)과 ‘은행·증권사 금융 시너지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 영등포구 소재 KB국민은행 본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이사, 이환주 KB국민은행장 및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증권 고객의 외환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해외 결제 및 송금 등 다양한 외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우선, 양사는 7월 내 ‘외화 현찰 지급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키움증권을 이용하는 고객은 키움증권 앱(영웅문S#)에서 주요 통화(△USD △JPY △EUR 3종)를 환전 후, 간편하게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 외화를 수령할 수 있는 ‘외화 현찰 지급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공항 점포를 제외한 전국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 수령이 가능하다. 또한 키움증권 고객이 보유한 외화 계좌에 ‘KB국민 트래블러스 체크카드’를 연결해 해외에서 여행 전용 카드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키움증권 앱 내에 ‘KB국민은행 해외송금 서비스’를 추가해 외화를 보다 간편하게 송금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이환주 KB국민은행장은 “이번 협약으로 증권 고객에게 실질적인 금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양사는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고객 중심’의 금융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07-08
  • 현대차그룹,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판매 성장세 지속… 타협 없는 안전 철학 빛났다
    최근 5년간 미국 IIHS 충돌안전평가에서 ‘최고 안전한 차’ 최다 선정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해외 시장 주력 모델들이 훨씬 강화된 충돌안전평가에서 잇따라 최고 수준의 성적을 받으면서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상품성이 높은 자동차’라는 인식이 확산돼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은 해외 시장에서 2021년 약 540만 대, 2022년 약 561만 대, 2023년 약 597만 대, 2024년 약 598만 대를 판매하며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전기차 캐즘 지속 등 불확실한 경영 환경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 약 302만 대를 판매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판매량이 증가하는 등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현대차그룹이 안전 최우선 철학 아래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한 것이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의 주요 모델들은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이하 IIHS,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유로 NCAP(The Europ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me)’ 등 미국·유럽의 대표적인 신차 안전 평가 기관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IIHS 충돌안전평가에서 ‘최고 안전한 차’를 의미하는 ‘톱 세이프티 픽(이하 TSP, Top Safety Pick)’,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이하 TSP+, Top Safety Pick+)’ 등급에 2021년부터 5년간 총 106개 모델이 선정됐으며, 이는 자동차그룹 기준 최다 횟수다(※ 최근 5년간 토요타 그룹 80개, 폭스바겐 그룹 62개, 마쯔다 40개 선정). 현대차그룹은 2021년 28개, 2022년 26개, 2023년 15개, 2024년 22개, 2025년 현재까지 15개 모델이 TSP 이상 등급을 획득하며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꾸준히 입증해 오고 있다. 특히 IIHS의 충돌안전평가 기준이 매년 강화되는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이 2년 연속 TSP 이상 등급에 최다 선정된 점은 의미가 크다. IIHS는 지난해 정면충돌평가(updated moderate front overlap)에서 운전자 뒷좌석에 작은 체구 여성 또는 12세 아동 탑승을 가정해 작은 체구의 더미를 추가한 새로운 평가 방식을 도입했으며, 올해는 해당 평가 성적이 ‘훌륭함(good)’을 획득해야만 TSP+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을 더욱 강화했다. 또한 보행자 충돌 방지 평가에도 주야간 성적 모두 ‘양호함(acceptable)’ 이상부터 TSP, TSP+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한 차례 높인 바 있다. IIHS는 195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매년 미국 시장에 출시된 차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 TSP+ 등급을, 양호한 성적을 거둔 차량에 TSP 등급을 부여한다. 현대차그룹은 유럽의 대표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에서도 판매 중인 모든 전용 전기차들이 최고 등급 별 다섯(★★★★★)을 획득했다. 2021년 아이오닉 5를 시작으로 전용 전기차를 유럽 시장에 처음 출시한 이래, 현대차 △아이오닉 5(2021년) △아이오닉 6(2022년), 기아 △EV6(2022년) △EV9(2023년) △EV3(2025년), 제네시스 △GV60(2022년) 등 평가를 받은 현대차그룹의 모든 전용 전기차 모델이 최고 등급을 달성하며 뛰어난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유로 NCAP은 1997년에 시작된 신차 안전성 평가로 유럽에서 판매 중인 자동차에 대한 안전성 검증 테스트를 실시해 매년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평가 항목은 △성인 탑승자 보호 △어린이 탑승자 보호 △보행자 보호 △안전 보조 시스템 등 총 4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종합 평가 결과에 따라 등급을 부여한다. 현대차그룹이 안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반열에 오른 것은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판매 증대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현대차그룹은 수천 번의 충돌 테스트와 실제 사고 분석을 통해 불가피한 사고 발생 시에도 강건한 차체 구조와 최적의 안전장치로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차량 출시 전 정면/옵셋(부분 정면), 차대차, 측면/후방 시험 등 실제 사고를 재현한 다양한 충돌 모드 시험을 차종당 100여 차례 이상 진행하고,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버추얼 충돌 시뮬레이션을 통해 차종당 평균 3000회 이상의 충돌 해석 과정을 거치고 있다. 또한 매일 100회 이상, 연간 3만 회 이상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사고에서 발생하는 여러 충돌 사례 등을 분석하며 각 차량별 최적의 안전장치를 탑재하기 위해 지속 연구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 충돌 시 에너지가 분산될 수 있도록 다중골격 구조로 차체를 설계하고, 초고장력강과 핫스탬핑 강판, 구조용 접착제를 확대 적용해 차체 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등 전반적인 차량 안전성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전방 충돌 방지 보조 △차로 유지 보조 △차로 이탈 방지 보조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등 다양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을 기본화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이 가능하게 했다. 현대차그룹이 고객 안전을 위해 수많은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차량에 적용해 온 배경에는 경영진의 안전 최우선 철학이 근간으로 자리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2021년 1월 새해 메시지에서 “품질과 안전에 대해서는 다른 어떤 것과도 타협하지 않는 자세로 완벽함을 추구할 때 비로소 고객이 우리를 신뢰할 수 있다”고 밝히며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입해 다양한 안전 기술을 개발하고 차량에 적용해 왔으며 이는 IIHS, 유로 NCAP 등 세계적인 안전 평가 기관에서 최고의 안전성을 인정받는 결과로 이어졌다. 앞으로도 현대차그룹은 안전 최우선 철학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최고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을 고객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07-05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