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뉴스 검색결과
-
-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알마티에 유엔 센터 설립 제안, 유엔 회원국들의 전폭적인 지지
- 카자흐스탄대통령의알마티에유엔센터설립제안, 유엔회원국들의전폭적인지지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유엔총회는중앙아시아와아프가니스탄을위한지속가능한개발목표(SDGs) 유엔지역센터설립에관한결의안을만장일치로채택했다. 이문서는중앙아시아국가들을대표하여카자흐스탄이제안한것이다. 대한민국을포함한152개유엔회원국들이공동 제안국으로결의안을지지하였으며, 이는이제안의중요성과광범위한국제적합의를강조하는것이다. 유엔SDGs 센터의설립은 카심-조마트토카예프 카자흐스탄대통령의제안을실현하는중요한진전이다. 이제안은74차유엔총회에서처음발표되었으며, 당시대통령은알마티의새로운국제기구건물에센터를설립할것을제안했다. 이건물에는이미18개의유엔기관이운영되고있다. 토카예프대통령은카자흐스탄이이지역에서가장큰경제국으로서국가들간의협력을강화하고중앙아시아의지속가능한발전을촉진하는데중요한역할을하고있음을강조했다. 세계거버넌스에서중견국가들의역할이커지고있는상황에서, 카자흐스탄의지속가능한발전과안정성확보를위한노력은더욱중요한의미를가진다. 카자흐스탄은세계주요강대국들간의중요한다리역할을계속강화하며, 국제협력의촉진자로서의역할을하고있다. 특히아프가니스탄의경제발전에많은주의를기울이고있다. 아프가니스탄국민의안정과번영은중앙아시아의안보와번영과직결되며, 카자흐스탄은아프가니스탄을지속적으로지원하며, 국가복구, 무역및경제관계확대, 지역협력통합과정에기여하고있다. 이번센터는국제및지역노력을조정하고, 최선의실천을공유하며, 기술지원을제공하고공동프로젝트를수행하는중요한플랫폼이될것이다. 센터는정부, 국제기구, 민간부문, 시민사회와긴밀히협력하여구체적이고측정가능한성과를달성할것이다. 또한, 이센터는유엔시스템의활성화과정에중요한기여를할것이며, 지역수준에서유엔활동의효율성을높이는데도움을줄것이다. 센터의활동은유엔기구간의협력강화를목표로하고, 글로벌이니셔티브를지역의필요에맞게조정하며, 유엔의효율성과효과성을높이는방향으로진행되는현재의유엔개혁목표에부합하는포괄적인다자간협력을촉진할것이다. 이결의안의채택은지속가능한발전을위한지역적접근법에대한글로벌지지를강조하며, 중앙아시아와아프가니스탄이안정, 번영및글로벌발전과정에통합되는길에국제사회가이를지원할준비가되어있음을보여준다. The Initiative of the President of Kazakhstan to Establish a UN Center in Almaty was Unanimously Supported by UN Member States The UN General Assembly unanimously adopted a resolut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UN Regional Cent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for Central Asia and Afghanistan. The document was initiated by Kazakhstan on behalf of the Central Asian states. 152 UN member states,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supported the resolution as co-sponsors, which underlines the high significance of the initiative and broad international consensus. The establishment of the UN SDG Centre is an important step in implementing the initiative of the President of Kazakhstan Kassym-Jomart Tokayev, first presented at the 74th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At that time, the Head of State proposed to locate the Centre on the basis of the new building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Almaty, where 18 UN agencies are already operating. President Tokayev stressed that Kazakhstan, as the largest economy in the region, is interested in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state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entral Asia, playing a key role in promoting regional integration. The growing role of middle powers in global governanc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Kazakhstan’s efforts to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tability. Kazakhstan continues to strengthen its role a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the world’s leading centers of power and acts as a catalyst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fghanistan. The stability and prosperity of the people of this country are directly linked to the security and well-being of Central Asia. Kazakhstan consistently supports the Afghan people, facilitating the processes of restoring the country, expanding trade and economic ties and integrating into regional cooperation. The Centre will be a key platform for coordinating international and regional efforts, sharing best practices, providing technical assistance and implementing joint projects. It will work closely with govern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to achieve concrete and measurable results. In addition, the Centre will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vitalization processes of the UN system, helping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at the regional level. Its work will be aimed at strengthening coordination between UN agencies, adapting global initiatives to regional needs and promoting inclusive multilateral cooperation, which meets current UN reforms aimed at increasing it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e adoption of this resolution underscores global support for a regional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monstrates the readines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acilitate the progress of Central Asia and Afghanistan on the path to stability, prosperity and integration into global development processes.
-
- 뉴스
- 정치
- 외교
-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알마티에 유엔 센터 설립 제안, 유엔 회원국들의 전폭적인 지지
-
-
카자흐스탄, 대통령주재로 ‘아스타나 국제 포럼 2025 열린다’
- ‘아스타나국제포럼2025 열린다’ 글로벌문제와우선사항에대한중요한대화의장열다 5월29일부터 30일 양일간 Congress Centre에서 개최될 예정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주재로 아스타나 국제 포럼(AIF)이 열린다. 이번 포럼은 국제 외교와 협력에 대한 국경을 넘는 대화를 촉진하는 임무를지속적으로수행하고있다. 글로벌혼란과양극화의배경속에서 각국의 국가원수, 정부지도자,기업리더,학자들이세계에서가장시급한문제들에대한실질적인해결책을모색하는자리가될것으로 기대된다. (주한)카자흐스탄대사관측은 “전략적인위치와증가하는국제참여로카자흐스탄은지정학적긴장이고조되는시기에국경을넘는협력을촉진하는데중요한역할을점진적으로 더활발히하고있다”면서 “동서양을잇는역사적인연결고리로,카자흐스탄은포용적인국제시스템을지지해왔으며이목표를달성하기위해확고히헌신하고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아스타나국제포럼은이헌신의명확한상징이며2023년포럼에서5,000명이상의국제참석자가참여한성공을기반으로, 올해포럼에서는국제시스템의미래를형성하는중요한이슈와주요 분야에영향을미치는신흥트렌드에대해논의할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포럼은외교정책및국제안보, 에너지및기후변화, 경제및금융이라는세가지핵심주제로나뉘어진행되는데행사프로그램에는국가원수및산업지도자들과의고위급일대일세션과저명한전문가및정치인들과의 대규모패널토론이포함된다. 아울러 포럼의새로운파트너십구축과협력촉진에대한헌신을반영하여각세션은향후10년을정의할외교적, 경제적, 사회적문제들에대한새로운 관점을제시하는것을목표로한다. “아이디어를연결하고미래를창조하다”라는주제아래, 올해포럼은다자주의와외교의새로운 시대를위한의제를설정하는것을목표로하고있다. 행사등록의관심 있는참가자는아래링크에서등록할수있다https://astanainternationalforum.org/ 포럼에 관한 자세한 문의는 바우르잔 다우토브 (주한)카자흐스탄 대사관 주재관(010-8360-4443)에게 하면 된다.
-
- 뉴스
- 정치
- 외교
-
카자흐스탄, 대통령주재로 ‘아스타나 국제 포럼 2025 열린다’
-
-
서울중기청, 제1회 「S.Challenge IR」 바이오 분야 창업기업 모집 공고
- 서울중기청, 제1회 「S.Challenge IR」 바이오 분야 창업기업 모집 공고 - IR 피칭, 멘토링, 투자자와 네트워킹 기회 등 프로그램 운영 - 서울 소재 바이오 분야 창업기업 모집(2.24~3.10)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중소벤처기업부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청장 이병권, 이하 서울중기청)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서울센터)와 협업하여 2025년부터 서울지역 특화분야 IR 지원프로그램(“S.challenge IR”)을 신설하고, 제1회 참여기업을 2.24(월)부터3.10(월)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S.challenge IR」은홀수달 마지막 주 서울센터에서 열리는 서울지역 특화분야 투자유치 채널로서, 투자자와 스타트업 간 교류 기회 확대를 통해 서울지역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25년에는 바이오(제1회, 3월), AI·빅데이터(제2회, 5월), 로봇(제3회, 7월), 사이버보안(제4회, 9월)분야로 나누어 개최할 예정이며, 12월에는 각 분야별IR 데모데이 우수기업을 대상으로 왕중왕전(순위결정전)을 거쳐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상 등을 수여할 예정이다. 이번 제1회 참여기업 모집공고는 서울지역 창업지원기관의 추천을 받은 업력 3년 이내의 바이오 분야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3월 10일(월)까지서울센터 이메일(s.challengeir@ccei.kr)로 신청할 수 있다. 요건검토 및 서류평가를 통해 총 5개 내외 기업을 최종 선발하여 3.28(금)제1회 「S.challenge IR」을 개최한다. 심사역으로는 회차별 지정 분야를 고려하여 액셀러레이터, 창투사, 펀드운용사(VC), 개인·벤처투자조합 등 관련 분야 전문투자자가 참여한다. 선발된 창업기업은 IR 역량강화를 위한 맞춤형 멘토링, 대기업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연계지원, S.빌리지 입주공간 제공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있다. 이병권 서울중기청장은“「S.challenge IR」은 바이오, AI·빅데이터 등 신산업 분야 기업이 밀집된 서울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올해부터 신설한 지원프로그램”라며,“미래를 선도할 벤처·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하였다.
-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
서울중기청, 제1회 「S.Challenge IR」 바이오 분야 창업기업 모집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