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11-05(수)

뉴스
Home >  뉴스  >  경제

실시간뉴스
  • LX하우시스,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개발
    LH 공동주택 시공현장 바닥충격음 성능 인정 1등급 획득 LH의 ‘2024 고성능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기술 공모’ 참가, 공동주택 시공현장 두 곳서 실시한 성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등급 획득 참가업체 중 중량∙경량 충격음 모두 1등급 획득한 업체는 LX하우시스가 유일 [이코노미서울=김시남기자] LX하우시스가 우리나라의 큰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층간소음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를 개발했다. 이와 관련 LX하우시스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동주택 시공현장 두 곳(84㎡/55㎡ 세대)에서 실시한 바닥충격음 성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성능 평가는 LH의 ‘2024 고성능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기술 공모’에 참가한 업체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4월부터 12월에 걸쳐 실시됐으며, 참가 업체 가운데 바닥충격음 평가항목인 중량충격음과 경량충격음에서 모두 1등급을 획득한 업체는 LX하우시스가 유일하다. LX하우시스는 이번 공동주택 현장 성능 평가에서 중량충격음 36dB, 경량충격음 32dB를 기록, 아래 층에 전달되는 소음이 37dB 이하일 때 받을 수 있는 1등급을 받았다. 특히 LX하우시스가 획득한 바닥충격음 수치는 시험기관의 시험실이 아닌 실제 공동주택 현장에서 진행된 층간소음 실증 결과여서 국내 건설 및 건축자재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2022년 8월 아파트 완공 이후에도 층간소음을 측정해 기준치(49dB 이하)를 충족하지 못하면 보완시공 및 손해배상 등을 권고할 수 있는 ‘층간소음 사후확인제’를 도입하면서 고성능 바닥구조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업계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다. LX하우시스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는 슬라브(210mm) 위에 우레탄폼의 완충재와 중량 모르타르가 적용된 구조다. 우레탄폼 완충재(50mm)와 중량 모르타르(60mm)를 총 110mm 구조로 설계, 기존 아파트의 바닥 마감층 두께와 동일해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바닥 충격음을 줄였다. 특히 LX하우시스가 자체 개발한 고성능 우레탄폼 완충재는 소음 저감과 충격 흡수에 뛰어나 사람이 걷거나 뛸 때 저주파 진동으로 전달되는 중량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준다. 한편 LX하우시스는 2004년 국내 PVC바닥재 업계 최초로 층간소음(경량충격음) 저감 기능성을 갖춘 ‘소리잠’ 바닥재를 출시한 이래 층간소음 저감에 도움을 주는 바닥재와 매트 등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오고 있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01-16
  • KB국민은행, 오는 3월부터 빗썸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 오픈 예정
    오는 20일부터 KB국민은행 계좌를 미리 등록할 수 있는 ‘사전오픈 서비스’실시 임베디드금융으로 안전한 가상자산거래 지원 및 KB스타뱅킹을 통한 고객의모바일 편의성확대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이 오는 3월 24일부터 가상자산거래소 빗썸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를 오픈한다. ‘실명계정’은 동일금융회사 등에 개설된 가상자산사업자의 계좌와 그 가상자산사업자의 고객 계좌 사이에서만 금융거래 등을 허용하는 계정으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휴은행은 거래소와 거래자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한다. 지난 10일 가상자산사업자 빗썸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제출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서비스 제휴은행 변경 신고’에 대한 수리가 완료됐다. 따라서 3월 24일부터 빗썸을 이용하는 고객은 KB국민은행의 계좌를 통해서만 가상자산 거래가 가능하게 됐다. 이에 앞서, 1월 20일부터 KB국민은행 계좌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는 ‘사전오픈 서비스’를 실시해 빗썸 이용 고객의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도울 예정이다. KB국민은행은 임베디드금융을 통해 빗썸의 안전한 가상자산거래를 지원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과 자금세탁방지시스템을 구축했고, 대표 플랫폼인 KB스타뱅킹을 활용해 고객들의 편리한 모바일 금융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01-14

실시간 경제 기사

  • 우리은행, 새희망홀씨대출 5588억원… 시중은행 1위
    2025년 3분기 기준 시중은행 중 유일 대출액 5000억원 이상… 서민경제 숨통 틔워 청년·소상공인 맞춤형 특화상품, 비대면 및 대출 중개 플랫폼 연계로 접근성 높여 포용 금융 정책에 발맞춰 저신용자·성실 상환자 금리우대 11월 확대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대표 서민금융 대출 상품인 새희망홀씨대출의 2025년 3분기 누적 공급액이 5588억원으로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5000억원을 돌파하며 공급 실적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2024년에도 새희망홀씨대출을 6374억 공급하며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6000억원을 초과했다. 2025년에도 △1분기 1540억 △2분기 1750억 △3분기 2298억을 공급하는 등 계속해서 대출액을 늘려나가고 있다. 대출금액뿐만 아니라 새희망홀씨대출 목표 달성률(87.5%) 역시 시중은행 중 가장 높았다. 지난 2023년 우리은행은 청년·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연 5.0 ∼ 5.5% 확정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우리 청년 도약 대출 △우리 사장님 생활비 대출과 우리은행 대출을 최장 10년까지 장기 분할 상환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우리 상생 올케어 대출 등 새희망홀씨대출을 확대하며 대출액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더불어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고객을 위해 우리WON뱅킹을 통한 비대면 대출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대출 중개 플랫폼 연계를 확대해 접근성을 높여 ‘실수요자 중심’의 서민금융 공급에 앞장서고 있다. 우리금융은 지난달 ‘우리금융 미래 동반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생산적 금융 전환에 73조원, 포용 금융 확대에 7조원 등 총 8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중 새희망홀씨대출을 포함한 서민금융 대출 확대에 3.5조원을 편성했다. 금융비용 경감을 위해 성실 상환 고객의 금리우대 폭을 기존보다 0.1 ~ 0.5%p 확대하고 저신용자(CB 7등급 이하) 신규 고객 0.3%p 금리우대를 신설해 연내 100% 초과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은행은 남은 4분기에도 저신용자 및 성실 상환 고객에 대한 금리우대를 늘려 포용적 금융을 지속 확대할 것이며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서민금융에 힘써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10-24
  • 겨울 옷 쇼핑, 편의점·다이소에서 만나볼까
    PB 상품 출시, 패션기업과 협업도 접근성·가성비 앞세워 수익 창출 [이코노미서울=김수미기자] 편의점과 균일가 판매점 다이소 등이 자체 브랜드(PB) 옷을 만들거나, 패션 전문 기업과 협력해 전용 매대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의류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의류상품과 판매플랫폼이 유통업계 전반으로 다양화하고 있다. 유행을 타지 않는 기본형의류를 의류전문메이커보다 싸게 파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 게 특징이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은 지난 4월 첫 의류 PB 상품으로 ‘세븐셀렉트 티셔츠’를 출시한 데 이어 최근 편의점 업계 최초로 캐시미어 혼방 니트 상품을 내놨다. 캐시미어(5%)와 모(5%)를 비롯해 폴리에스터와 아크릴이 혼방된 상품을 3만2000원에 판매했다. 회사 측은 “4월 의류 상품 출시 후 패션 카테고리 매출이 작년보다 2배로 증가했다”며 “편의점이 생활 플랫폼으로 도약 중인 만큼 고급 소재인 캐시미어가 함유된 의류 상품까지 기획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GS25는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협업해 ‘무신사 스탠다드 익스프레스’ 상품을 단독으로 판매하고 있다. 편의점 주소비층인 10~30대와 소비층이 겹치는 무신사와 손잡고 시너지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재킷과 팬츠·티셔츠·벨트·속옷·양말 등을 판매하는데 최근 2주간(10월 7~20일) 매출이 출시 초기(3월 5~18일)보다 187%가량 증가했다. 반소매 티셔츠와 양말, 속옷, 바람막이 재킷 등이 인기 상품으로 팔리고 있다.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는 5000원짜리 맨투맨과 후드 티셔츠 등을 선보여 ‘초가성비 의류 열풍’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이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의류용품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0% 증가했다. 편의점 업계가 가성비 의류 제품 판매를 시작하자, 기존에 PB 의류제품을 판매하던 대형마트는 판매가를 낮췄다. 이마트는 지난달 의류 PB ‘데이즈’(DAIZ)를 통해 9900원짜리 ‘The 부드러운 니트’를 출시했다. 2023년만 해도 1만원대에 판매되던 상품의 판매가를 38% 낮췄다. 작년 여성용 니트 출시 후 여성의류 매출이 18% 증가하는 등 반응이 좋아 올해는 남성용 니트와 플리스 집업 점퍼 등으로 상품군을 확대했다. 홈플러스도 의류 PB ‘F2F’를 통해 플리스 재킷과 조끼, 속옷 등을 내놨다. 대표 상품은 오리털 경량 조끼로 가격이 2만9900원이다. 업계에선 유통업계가 전국의 오프라인 점포를 활용한 ‘접근성’과 대량생산을 통한 ‘가성비’를 앞세워 새로운 수익 창출을 도모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 뉴스
    • 경제
    • 재테크
    2025-10-24
  • 삼성물산, 래미안 조경으로 세계조경가협회상 최우수상·본상 수상
    주거 부문에서 래미안 원펜타스와 래미안 포레스티지 조경 계획/설계로 수상 래미안 원펜타스 선큰 정원 등 입주민 최적화 조경 설계로 최우수상 래미안 포레스티지 자연유산 모티브 시설물과 생태연못 조경으로 본상 업계 최다 15개 프로젝트 세계조경가협회상 수상, 조경 역량 세계적으로 인정 [이코노미서울=박정섭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세계조경가협회(IFL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가 주관하는 2025 IFLA APR(Asia Pacific Region, 아시아/태평양 지역) LA(Landscape Architecture, 조경) 어워즈에서 최우수상과 본상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삼성물산은 서울시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와 부산광역시 동래구 래미안 포레스티지 조경을 출품해 주거(Residential) 부문에서 각각 최우수상(Award of Excellence)과 본상(Honourable Mention)을 받았다. 세계조경가협회는 1948년 창설돼 현재 80여 개 회원국을 보유한 전 세계 조경가들의 대표기관으로, 세계조경가협회상은 조경 분야 세계 최고 권위를 가지고 있다. 삼성물산은 래미안 원펜타스에 입주민이 쾌적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최적화한 조경 설계를 적용해 최우수상을 받았다. 먼저 선큰[1]정원을 조성해 한강 바람을 피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안락한 휴게 정원을 조성했다. 여기에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배치해 쾌적한 공간 제공과 입주민 편의성을 높였다. 추가로 선큰[1]이라는 음지의 생태 환경을 고려한 녹지공간과 청량한 수경시설, 침수 방지 배수 설계로 입주민만을 위한 쾌적하고 아늑한 공간을 마련했다. 또한 재건축 이전부터 자리하고 있던 느티나무 보호수를 존치할 수 있도록 설계 단계서부터 단지 배치와 동선 등을 고려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목 주변의 단차는 자연스럽게 휴게공간으로 활용해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한편 삼성물산은 래미안 포레스티지에 단지 인근 자연유산 ‘금샘’과 금정산 ‘금정 8경’에서 모티브를 얻은 시설물과 테마정원을 조성해 우수한 자연환경을 그대로 표현했다. 여기에 평상시 건천[2]이다가 비가 오면 생태연못으로 변하는 레인가든(Rain Garden)을 조성해 다채로운 경관을 제공하는 조경으로 본상을 수상했다. 삼성물산은 이번 수상을 통해 세계조경가협회상을 총 15회 수상하며 독보적인 조경 역량을 입증했다. 특히 2023년에는 래미안갤러리의 외부 조경 공간인 ‘래미안 네이처갤러리’를 출품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세계조경가협회상 대상(Outstanding Award)을 받았다. 삼성물산 김명석 주택 사업본부장(부사장)은 “이번 수상으로 총 15회의 세계조경가협회상을 수상하게 됐으며, 이는 래미안 조경의 진가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래미안 브랜드 파워와 주거의 품격을 한층 높여 입주민들에게 최고의 경험을 선사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 선큰(Sunken) : 지표면 아래에 조성된, 천장이 없는 개방된 지하 공간 [2] 건천 : 평소 물이 흐르지 않다가 비가 오거나 하여 수량이 증가할 때만 흐르는 하천
    • 뉴스
    • 경제
    • 재테크
    2025-10-23
  • 현대차·기아 ‘2025 R&D 협력사 테크 데이’ 개최
    [이코노미서울=서규웅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협력사와의 연구개발 상생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린다. 현대차·기아는 22일 롤링힐스 호텔(경기도 화성시 소재)에서 R&D본부장 양희원 사장을 비롯한 현대차·기아협력회 문성준 회장,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택성 이사장, 자동차산업부품진흥재단 안정구 이사장 등 협력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5 R&D 협력사 테크 데이(Tech Day)’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R&D 협력사 테크 데이는 현대차·기아가 기술 개발과 품질 확보 측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협력사에 대해 포상하고 다방면의 기술 교류를 통해 상호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로, R&D 분야 대표 동반성장 프로그램 중 하나다. 2006년을 시작으로 매년 개최돼 올해로 20회를 맞았으며, 매해를 거듭하는 동안 현대차·기아를 글로벌 TOP3 완성차 업체로 거듭나게 만든 원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날 행사는 우수 협력사 기술 6건에 대한 포상과 우수 신기술 사례 발표, 전시회 등으로 구성됐으며, 오프라인과 온라인 생중계를 병행해 더 많은 협력사 관계자들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우선 현대차·기아는 우수 협력사 기술 6건을 선정하고 그 가운데 독창성과 양산 가능성 면에서 가장 뛰어난 기술에 최우수상을 시상했다. 최우수상에는 ‘코모스’가 개발한 ‘실내 공간 활용 증대를 위한 다기능 콘솔’이 선정됐다. 기존 콘솔 테이블은 전, 후진만 가능했고 암레스트 또한 180도 회전 정도만 가능했지만 이 기술을 적용하면 콘솔 테이블이 운전석 또는 조수석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기울어지며, 암레스트가 운전자의 팔 위치에 맞춰 전/후진 및 상승/하강하기도 한다. 또한 암레스트에 적용된 컵홀더가 숨어있다가 사용자가 원할 때 팝업되는 기능도 있다. 우수상에는 △신영의 ‘이종소재 적용 경량/저원가 배터리 하우징’ △서진산업의 ‘문콕 방지 시스템’ △세인아이엔디의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버스바(BUSBAR)*’ △동희산업의 ‘자율주행 피로도 저감 악셀페달’ △경신의 ‘SDV 대응과 리던던시를 고려한 자율주행 전력분배 시스템’ 등 5개 기술이 선정됐다. * 배터리 셀 또는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전류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금속 도체 부품 이날 행사에서는 6건의 우수 신기술을 참석자들에게 공유하는 세션도 진행됐다. 코모스의 제인주 이사가 연사로 나서 최우수상 수상 기술인 다기능 콘솔을 소개했으며, 경신의 배재성 상무가 자율주행 전력분배 시스템을 소개하는 등 미래 자동차 시장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들이 참석자들에게 공유됐다. 이 밖에도 현대차·기아는 35개 협력사의 43개 기술을 전시해 참석자들이 기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또 다른 협력의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차·기아는 이날부터 11월 30일(일)까지 43개의 신기술 영상을 온라인에 게재해 현대차·기아와 협력사 임직원들이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대외 공개가 가능한 기술은 외부 고객들까지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현대차·기아 R&D 본부장 양희원 사장은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는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통해 R&D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협력사와 긴밀하게 기술을 교류할 수 있는 행사를 이어가며 함께 미래 자동차 시장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의 인재 채용을 지원하는 ‘Here We Go(히어 위 고)’ 프로그램을 비롯해 정부, 전문가, 협력사 대표가 참여하는 ‘상생협의체’ 구성, 협력사 전용 교육시설 ‘글로벌상생협력센터’ 건립 등 자동차 산업 협력사들의 동반성장을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10-23
  • 삼성전자, 2025년형 TV·모니터에 업계 최초 ‘퍼플렉시티’ 탑재… 새로운 스크린 경험 제공
    [이코노미서울=심재현기자] 삼성전자가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업계 최초로 생성형 AI ‘퍼플렉시티(Perplexity)’를 탑재했다. 적용 모델은 2025년형 마이크로 RGB, Neo QLED, QLED, OLED, 더 프레임 프로, 더 프레임 TV와 2025년형 M7, M8, M9 모니터다. 퍼플렉시티는 AI 기반의 검색 엔진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자료를 수집·분석해 심도있는 답변과 추가 질문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영화 추천, 여행 계획 수립, 스포츠 경기 결과, 기업 실적 결과 분석 등 다양한 주제의 사용자 질문에 맞춰 최적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TV와 모니터 화면의 앱스(Apps) 탭 또는 리모컨의 AI 버튼을 눌러 ‘비전 AI 컴패니언’을 실행한 뒤 퍼플렉시티 앱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퍼플렉시티가 탑재된 삼성 TV와 모니터 사용자들은 ‘퍼플렉시티 프로’ 12개월 무료 구독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연내 OS 업데이트를 통해 2023년형, 2024년형 TV와 모니터에도 퍼플렉시티를 탑재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안희영 상무는 “업계 최초로 삼성 TV와 모니터에 퍼플렉시티를 탑재해 더욱 특별하고 개인화된 맞춤형 AI 스크린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퍼플렉시티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들이 대형 스크린을 더욱 새롭고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라이언 푸티(Ryan Foutty) 퍼플렉시티 사업개발 상무는 “우리의 사명은 기존 검색 방식에 혁신적인 AI 기반 인터페이스를 결합해 사용자의 호기심을 해결하는 것”이라며 “세계 1위 TV 브랜드인 삼성과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삼성 기기 사용자들에게 퍼플렉시티를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에서 개인 맞춤형 AI인 ‘비전 AI 컴패니언(Vision AI Companion)’을 처음 공개한 이후, 글로벌 AI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스크린 경험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을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탑재했으며, 최근 퍼플렉시티까지 도입해 콘텐츠를 찾고 질문하고 일상생활에 다양한 도움을 주는 AI TV 경험을 지속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10-23
  • 대한항공, 미국 록히드마틴과 미 군용기 후속 군수지원 위한 파트너십 프레임워크 체결
    22일 ADEX 2025에서 체결식 열려… 인도-태평양 지역 미군 자산의 적기 전력화 기여 대한항공, 미국 RSF 정책에 최적의 파트너… 미군 항공기 창정비 핵심기술·노하우 기반 제3국으로 사업 확장해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과 수출 기회 적극 모색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대한항공이 세계 최대 방산기업인 미국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과 손잡고 미국 육·해·공군 전력 강화를 위한 미 군용기 후속 군수지원에 협력한다. 양사는 22일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인도-태평양 지역 및 제3국 내 미군 전력 자산의 정비지원과 적기 전력화에 기여하기 위한 파트너십 프레임워크(Partnership Framework)에 서명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조현철 대한항공 군용기사업부 부서장, 스티브 시히(Steve Sheehy) 록히드마틴 운영·유지 사업 개발 담당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대한항공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군 작전 수행 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적기 전력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양사 간 협력을 기반으로 록히드마틴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는 제3국으로 사업을 확장해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과 수출 기회도 적극 모색할 방침이다. ◇ 미국 RSF 정책에 따라 협력… 세계적 수준의 MROU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번 협력은 최근 미국 국방부(전쟁부)가 발표한 ‘지역 정비 지원 체계(RSF·Regional Sustainment Framework)’ 정책 기조에 따라 진행됐다. RSF는 미국이 직접 담당해 온 해외 정비를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의 역량을 활용해 효율화하겠다는 정비 거점 구축 정책이다. 자산을 수리하기 위해 미국 본토까지 이송하는 데 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줄여 작전 준비 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려는 것이다. 대한항공은 미국 RSF 정책에 최적의 파트너로 꼽힌다.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군 장비를 가장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과 우수한 기술력, 풍부한 경험을 보유했기 때문. 대한항공은 지난 50여 년간 군용 항공기 체계개발·양산·정비·성능 개량을 수행해 온 국내 최고 수준의 항공 방산 기업이다. F-15, F-16 등 전투기를 비롯해 다목적 헬리콥터 등 인도-태평양 전역 미군 항공기 3700여 대의 유지보수·수리·창정비 및 성능 개량(MROU) 사업을 모두 수행한 국내 유일의 업체이기도 하다. 대한항공은 미 군용기 정비 및 개조가 동맹국의 핵심 업체에만 수행되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며 대한항공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미 군용기 후속 군수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핵심 파트너사로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강조했다. ◇ 제3국으로 사업 확장 모색… 대한민국 방산 산업의 글로벌 위상 높일 것 대한항공은 이번 협력을 토대로 록히드마틴 항공기를 운용하는 제3국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 간 협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과 수출 기회도 적극 모색한다는 것. 앞서, 록히드마틴은 첨단 기술과 혁신을 통해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첨단 군사 장비와 방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F-35, F-16, F-22 전투기를 비롯해 C-130J 수송기, MH-60R 해상 작전 헬기, UH-60 다목적 헬리콥터 등이 있다. 특히, 1970년대 개발된 전투기 F-16은 현재까지도 29개국 이상에서 운용되고 있다. 한국 공군 역시 1980년대부터 F-16을 주력 전투기로 도입해 영공 방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대한항공은 F-16 수명연장(SLEP·Service Life Extension Program) 사업을 진행하며 록히드마틴의 지속적인 기술지원과 혁신을 뒷받침하고 있다. 2022년 초도기를 성공적으로 출고했으며, 기골 보강을 통해 추가 4000시간(약 20년)을 추가로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UH/HH-60, CH-53 등 주일미군의 록히드마틴 회전익기(헬리콥터, 드론 등 날개 회전 비행체) 창정비 및 성능 개량을 수행하는 등 미 군용기 후속 군수지원을 위한 핵심 파트너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이번 록히드마틴과의 협력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동맹국에 대한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대한항공이 지난 50여 년간 축적한 기술력과 인프라로 대한민국 방산 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
    • 경제
    • 이슈 FOCUS
    2025-10-23
  • 바디프랜드 헬스케어로봇, 고령자 하체 근력 개선 효과 확인
    마사지체어 기반 PNF 스트레칭 효과 밝힌 논문, 국제 SCI(E)급 학술지 게재 보행속도∙햄스트링 근력∙균형감각 등 신체기능 지표의 긍정적 변화 확인 [이코노미서울=마무열기자] 헬스케어로봇® 기업 바디프랜드(대표이사 곽도연·김철환)가 자체 개발한 헬스케어로봇의 ‘PNF 스트레칭’ 마사지 프로그램이 고령자의 하체 근력 및 신체 기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 ‘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스트레칭’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가이드가 필요한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을 자동화한 기술이다. 이 프로그램은 신경과 근육의 반사 기전을 활용해 근육의 신장과 수축을 유도함으로써, 유연성과 근력 향상을 돕도록 설계된 바디프랜드만의 로보틱스 기반 스트레칭 기술이다. 해당 프로그램이 탑재된 ‘팔콘S(BFR-7211)’가 이번 연구에 활용됐다. 연구는 65세 이상 고령자 62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 연구로, 마사지체어 기반 ‘PNF 스트레칭’ 프로그램이 하체 근력·균형·신체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다. 실험군은 바디프랜드 ‘팔콘S(BFR-7211)’의 PNF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1회 20분씩, 주 3회, 4주간 실시했으며, 대조군은 복부 중심의 일반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했다. 4주 후 마사지체어 기반 PNF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군은 하체 종합 신체기능(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점수가 9.42점에서 11.58점으로 크게 향상(p<0.001)되며, 걷기·균형 유지·의자에서 일어나기 등 일상적인 신체활동 수행 능력의 뚜렷한 개선을 보였다. 반면 대조군은 개선 폭이 제한적이거나 되려 점수가 감소한 경우도 있었다. 특히 대퇴부의 주요 근육인 ‘햄스트링 근력’은 실험군에서만 양쪽 다리 모두 유의하게 강화됐고 ‘근육량(soft lean mass)’ 역시 실험군에서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밖에도 실험군에서 낙상 불안감 감소, 삶의 질(K-CASP-16) 지표 향상 등 다방면의 긍정적 변화가 관찰됐다. 이는 마사지체어 기반의 홈 헬스케어가 단순 휴식 기능을 넘어, 비교적 손쉽게 신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용 건강관리 솔루션이 될 수 있음을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한 사례다. 연구팀은 마사지체어의 자동화된 PNF 스트레칭이 근력과 균형 향상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가정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근골격계 건강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특히 신체활동이 제한적인 고령자에게도 접근성이 높은 홈 피트니스 솔루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바디프랜드는 헬스케어로봇이 앞으로도 생활 속 헬스케어 기술을 고도화해 ‘움직이는 헬스케어 플랫폼’으로서의 비전 확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Effect of the BFR-7211 on lower limb muscle strength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이라는 제목으로, 노인의학 및 영양 분야 SCI(E) 저널인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2025년 최신 호에 정식 게재됐다(Vol.29, 100692).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10-23
  • [심진섭의 금융소식]
    KB국민은행, DC 퇴직연금 적립금 15조원 돌파로 전 금융권 1위 유지 고객이 직접 가입하고 운용하는 DC 시장에서 적립금 규모 1위 지위 유지 장기 안정적 수익률 실현을 추구하는 KB국민은행만의 ‘퇴직연금 투자 철학’ 주효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이 전체 퇴직연금사업자 중 최초로 DC형 적립금 15조원을 달성하며 전 금융권 1위를 유지했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에 따르면 3분기 말 기준 KB국민은행은 DC형 적립금 15조원을 달성하며, 전체 사업자 중 DC형 적립금 규모 1위 지위를 지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고객이 직접 가입하고 운용하는 DC형 시장에서 KB국민은행이 오랜 기간 고객의 선택을 받은 의미 있는 성과다. 또한, 퇴직연금 운용 수익률에서도 KB국민은행은 2025.3분기 말 DC 1년 원리금 비보장형 수익률 15.38%(5년 수익률 연평균 6.33%)를 기록해 불확실성이 높았던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 성과를 실현했다. DC형 퇴직연금 적립금 15조 돌파와 함께 안정적인 수익률 성과의 비결로 KB국민은행은 TDF(Target Date Fund) 중심의 장기 안정적 수익률 추구 전략을 꼽았다. 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도 TDF와 분산투자 중심의 자산 배분 전략을 강화해 고객의 안정적인 수익 실현은 물론 국민의 든든한 평생 금융 파트너로서 고객의 신뢰를 얻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단기성과 중심의 ETF 상품보다 중장기 운용에 적합한 변동성 관리와 안정성을 중시한 전략이 유효했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일관된 퇴직연금 투자 철학이 고객 만족을 이끌어낸 의미 있는 결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고객 중심의 자세로 국민의 든든한 노후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BNK부산은행, 최고 연 5.0% ‘Only One 주거래 법인 적금’ 출시 10/22(수), 창립 58주년을 맞아 법인 전용 특판 진행 △대출 △정기예금 등 거래 실적에 따라 우대금리 최대 3.0%p 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은 창립 58주년을 맞아 약 580억 규모, 최고 연 5.0% 금리의 ‘Only One 주거래 법인 적금’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상품은 법인 전용 특판 적금으로, 가입 기간은 1년이며 월 최대 580만원(1년 최대 6960만원)까지 불입할 수 있다. 판매 기간은 2026년 3월 31일까지이며 한도(1000좌)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기본 금리는 연 2.00%이며, 창립 58주년 기념 특판 우대금리 0.30%p를 가입한 모든 고객에게 제공한다. 여기에 거래실적에 따라 최대 2.70%p의 추가 우대금리가 적용돼, 최고 연 5.00% 금리를 받을 수 있다. 거래실적 우대금리는 △대출 △정기예금 △입출금 평잔 △외환 실적 △신용(체크)카드 실적 등 총 5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의 조건 달성 시 최대 1.70%p까지 모든 항목 달성 시 추가 1.00%p의 ‘주거래 우대금리’가 제공된다. BNK부산은행은 6월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Only One 주거래 우대 적금’을 선보인 데 이어 이번에는 법인 고객을 위한 맞춤형 주거래 상품을 출시함으로써 고객군별 차별화된 혜택 라인업을 강화했다. 부산은행 강석래 기업그룹 고객장은 “창립 58주년에 맞춰 주거래 법인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드릴 수 있는 상품을 고민한 결과 이번 상품을 출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과 함께 성장하고, 주거래 고객 중심의 금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2025년 3분기 누적 전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 달성 24년 말 대비 적립금 3.83조 증가… IRP 2.66조, 확정기여형(DC) 1.16조 증가에 힘입은 결과 23년부터 2년 연속 全 금융권 적립금증가 1위! DC 원리금 비보장 운용 수익률 시중은행 1위 대면·비대면 채널을 아우르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맞춤형 연금 자산 관리 서비스 제공의 성과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2025년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 연금 포탈 퇴직연금 비교 공시에 따르면, 2025년 9월 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1083억원으로, IRP 2조6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1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전년 말 대비 3조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全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 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하며 퇴직연금 명가(名家)로서 신뢰와 전문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러한 꾸준한 성과는 대면과 비대면을 아우르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손님 맞춤형 연금 자산 관리 서비스 제공의 결과다. 우선, 하나은행은 지난 8월부터 연금 전문 컨설턴트가 상담 전용 차량과 함께 손님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로 직접 찾아가는 ‘움직이는 연금 더드림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원거리 소재 퇴직연금 손님에게 전문적인 대면 상담을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지난 3월 금융권 최초로 AI 기반 ‘로보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지난 4월에는 은행권 최초로 카카오톡을 통해 맞춤형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하나 MP 구독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비대면 채널에서도 손님들이 쉽고 편리하게 연금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은행 연금 사업단은 하나은행을 연금 자산 관리의 든든한 동반자로 선택해 주신 손님들의 성원에 힘입어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손님의 연금 자산이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은행은 오는 27일부터 11월 말까지 손님의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한 ‘가을 빛 혜택! 연금 어썸 리워즈’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중 하나은행 상품 전문가가 엄선한 ‘이달의 테마상품’을 매수하고 미션에 참여한 손님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2만 하나머니(100명) △1만 하나머니(300명) △스타벅스 커피 쿠폰(1000명)을 제공한다. 이벤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나은행 대표 모바일 앱 ‘하나원큐’ 또는 하나은행 고객센터(☎ 1599-11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뉴스
    • 경제
    • 정책/금융
    2025-10-23
  • 삼성전자 ‘KES 2025’서 일상을 혁신하는 AI 경험 선보여
    마이크로 RGB TV, 비전 AI 컴패니언 등 디스플레이 기술 리더십 강조 집과 학교, 매장 등 다양한 환경·공간별 최적화된 AI 제품·기술 전시 ‘집’ 공간에는 제품간 연결성과 AI 기반 맞춤형 주거 환경 선보여 ‘교실’에서는 최신 갤럭시 AI와 폴더블폰 등 모바일 솔루션 체험 제공 ‘매장’에서는 VXT와 이페이퍼 등 상업 시설에 최적화된 솔루션 제시 [이코노미서울=전영구기자] 삼성전자가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COEX)에서 열리는 ‘KES 2025(한국전자전)’에서 주거부터 교육, 비즈니스까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일상을 혁신하는 최신 AI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집과 교실, 매장 등 실제 생활환경을 테마로 한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삼성전자의 최신 모바일·디스플레이·가전 등 AI 제품과 기술로 각 공간별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구현했다. 특히 전시관 입구에는 대형 LED를 활용한 미디어 파사드를 구성해 관람객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이어 디스플레이 특화 전시 공간을 배치해 차별화된 디스플레이 기술 리더십을 강조할 계획이다. ◇ 마이크로 RGB TV, 비전 AI 컴패니언 등 디스플레이 기술 리더십 강조 삼성전자 전시관을 찾은 관람객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RGB TV’의 압도적인 화질과 색 재현력, 명암 표현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또 TV에 탑재돼 개인 맞춤형 AI 경험을 제공하는 ‘비전 AI 컴패니언(Vision AI Companion)’도 체험해 볼 수 있다. 비전 AI 컴패니언은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TV 콘텐츠 정보 등 다양한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제공한다. 또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퍼플렉시티를 탑재해 AI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이동형 스크린 ‘무빙스타일’도 전시된다. 무빙스타일은 사용자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 종류 △화면 크기 △해상도 △제품 색상 △스탠드 타입 등 다양한 옵션을 갖춰 202가지 맞춤형 선택이 가능하다. ◇ 가족의 일상에 최적화된 AI 경험을 제공하는 ‘AI 홈’ 전시 관람객들은 거실·주방·침실 등 집을 테마로 구현된 전시공간에서 스마트싱스를 중심으로 연결된 다양한 전자제품이 가족 구성원의 일상을 쉽고 편리하게 혁신하는 ‘AI 홈’을 경험할 수 있다. ‘거실’에는 사용자를 인식해 에어컨·로봇청소기 등 AI 가전들이 자동으로 동작해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싱스 자동화 루틴’을 만나볼 수 있다. 또 부재 시에도 가족과 반려동물의 상태나 활동을 확인하는 ‘패밀리 케어’와 ‘펫 케어’ 기능도 체험할 수 있다. ‘주방’에서는 냉장고에 탑재된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을 만나볼 수 있다. AI 비전 인사이드는 냉장고 속 식재료를 관리할 뿐 아니라 맞춤 레시피도 추천한다. 또 관람객들은 이곳에서 AI 기반으로 집안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체험할 수 있다. 스크린을 탑재한 가전이나 모바일 기기의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 연결된 기기들의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TV와 냉장고·세탁기·에어컨 등 대표 가전 제품들의 에너지 절감 효과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연결된 기기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60%까지 절감하는 스마트싱스의 ‘AI 절약모드’도 체험할 수 있다. ‘침실’ 공간에서는 사용자의 수면·기상 상태에 맞춰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커튼·조명·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과 가전이 일괄 제어돼 최적의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웨어러블 기기로 개인별 수면 기록을 측정해 수면 리포트를 제공하고 맞춤형 건강 루틴을 설계하는 ‘수면 코칭’ 기능도 만나볼 수 있다. ◇ 교실·매장 등 다양한 공간의 효율성·생산성 높이는 AI 기술 제시 관람객들은 학습 공간으로 꾸며진 ‘갤럭시 AI 클래스’에서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의 강력한 카메라 성능을 체험해 볼 수 있다. 또 생성형 편집, 제미나이 라이브 등 다양한 갤럭시 AI 기능도 경험할 수 있다. 상업 공간으로 구현된 전시에서는 △삼성 VXT(Visual eXperience Transformation) 솔루션 △더 무빙스타일(The Movingstyle) △스페이셜 사이니지(Spatial Signage) △삼성 컬러 이페이퍼(Color E-Paper) 등 폭넓은 상업용 디스플레이 제품 라인업을 만나볼 수 있다. 사이니지 콘텐츠 운영 플랫폼 ‘삼성 VXT’는 원격으로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 메뉴판 등의 콘텐츠 제작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사이니지 콘텐츠를 일괄 교체할 수 있어 매장 운영 효율을 높여준다. 무선 이동형 스크린 ‘더 무빙스타일’은 배터리가 내장돼 매장 내에서 원하는 공간으로 편리하게 이동하며 활용될 수 있다. 3D 공간감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스페이셜 사이니지’는 2D 고화질 이미지와 3D 공간감을 동시에 제공해 입체감을 현실감 있게 연출한다. 초저전력 디지털 광고판 ‘삼성 컬러 이페이퍼’는 전력 공급 없이도 이미지를 화면에 띄워놓을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여준다. 삼성전자 한국총괄 장소연 부사장은 “주거부터 교육, 비즈니스까지 일상에 밀접한 공간 속 AI 혁신을 더욱 생생하게 체감할 수 있도록 전시를 구성했다”며 “모바일부터 가전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공간에서 AI와 함께 하는 더욱 쉽고 자유로운 일상을 경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뉴스
    • 경제
    • 기업/IT
    2025-10-22
  • 기아, 카자흐스탄 CKD 공장 준공식 개최
    [이코노미서울=서규웅기자] 기아는 21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코스타나이에서 CKD(Complete Knock Down·반조립 제품) 합작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준공식에는 송호성 기아 사장과 로만 스클야르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를 비롯한 현지 정부 고위급 인사, 파트너사 관계자들이 대거 자리를 함께했으며,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화상으로 행사에 참석했다. 송호성 사장은 “카자흐스탄 CKD 공장은 고객 중심의 혁신 및 전동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려는 기아 글로벌 비전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기아 카자흐스탄 CKD 공장 건설에는 총 3억1000만달러가 투자됐으며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7만 대 수준이고, 전체 부지 면적은 63만㎡에 달한다. 기아는 공장 준공식에 맞춰 쏘렌토 양산을 개시했으며, 2026년에는 스포티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현지 시장 수요와 현지화 작업 진척 정도에 따라 생산 모델을 확대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중앙아시아 지역 내에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 뉴스
    • 경제
    • 이슈 FOCUS
    2025-10-2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