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서울=심재현기자] 삼성전자가 올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1위를 탈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장조사 업체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액은 직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200만달러(약 20조4400억원)로 집계됐다. 시장점유율은 34.8%로 1위를 차지했다. CFM은 “범용 D램 가격 상승의 수혜로 전체 D램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점유율 1위를 되찾았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주도권을 내주면서 지난 1분기 D램 점유율 1위를 SK하이닉스에 내줬다. 하지만 올 하반기 들어 HBM 경쟁력을 일정 부분 회복한 데다, D램 가격이 상승하자 생산 능력(캐파)이 큰 삼성전자의 매출이 급증하며 1위를 탈환한 것이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137억9000만달러의 D램 매출을 기록하며 점유율 34.4%로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미국 마이크론(22.4%), 4위는 대만 난야테크놀로지(1.6%)로 집계됐다.
낸드플래시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53억6600만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시장점유율 1위(29.1%)를 유지했다. SK하이닉스가 35억3600만달러(19.2%), 키옥시아 30억4600만달러(16.5%), 웨스턴디지털 23억800만달러(12.5%), 마이크론 22억5200만달러(12.2%)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글로벌 메모리 시장 규모는 584억5900만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D램 시장은 전 분기보다 24.7% 늘어난 400억3700만달러, 낸드플래시 시장은 전 분기보다 16.8% 성장한 184억2200만달러로 집계됐다. CFM은 “인공지능(AI) 서버 수요가 우선시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PC와 같은 소비자 응용 분야에서는 D램과 낸드플래시 공급 부족 우려가 심화되고,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메모리 시장 규모는 4분기에도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