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장사정포요격체계’ 레이다 계약… 총 1315억원 규모

입력 : 2025.04.30 22:58
이메일 글자확대 글자축소 스크랩
  • ‘수도권 최후의 방패’ 한국형 아이언돔의 ‘눈’ 만든다


한화시스템.jpg
한화시스템의 장사정포요격체계 다기능레이다(LAMD MFR)/한화시스템

 

[이코노미서울=김시남기자] 한화시스템이 한국형 아이언돔으로 불리는 국산 장사정포요격체계(LAMD·Low Altitude Missile Defense)의 핵심 장비인 레이다 체계개발을 도맡는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은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장사정포요격체계(LAMD) 체계개발 레이다 시제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사업 규모는 1315억원으로, 개발 기간은 오는 202811월까지다.

 

단거리·저고도에서 활약할 대공무기체계인 장사정포요격체계는 동시다발로 무리 지어 날아오는 북한의 장사정포를 전문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체계에 있어 수도권을 겨냥해 휴전선 일대에 대거 배치한 북한 장사정포와 미사일 위협을 저지하는 최후의 방패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장사정포요격체계의 에 해당하는 레이다는 좁은 상공 영역에 군집해 진입하는 수백 개 이상의 장사정포 다발을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실시간으로 탐지·추적하는 역량이 필요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레이다 중 하나로 꼽힌다.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시스템이 개발하게 될 레이다는 이스라엘의 대표 방공체계인 원조 아이언돔(Iron Dome)’보다 더 많은 표적과 교전 가능하도록 요격 능력을 높일 예정이다.

 

중동 시장에서 연이은 수출 성과를 내고 있는 수출형 천궁-II(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M-SAM-II)에 이어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까지 대한민국 대공방어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장사정포요격체계가 전력화되면 또 하나의 K-방산 주요 수출 품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혁 한화시스템 DE(Defense Electronics) 사업부장은 패트리어트(Patriot) 미사일의 본래 명칭이 요격용 위상배열 레이다(Phased Array Tracking Radar to Intercept On Target)’의 약자일 정도로 레이다가 없는 첨단 방공망은 상상할 수 없다한화시스템은 최첨단 레이다 기술 개발을 지속해 한반도 방호 역량 강화에 기여하며, 해외 시장 확대 방안을 모색해 지대공 유도무기 다기능레이다(MFR) 수출 라인업을 넓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시스템은 국내 최고의 레이다 기술을 보유한 K-방산 대표기업으로, 지대공(地對空) 유도무기체계뿐만 아니라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과 최신예 호위함 FFX 배치-III의 다기능레이다(MFR),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AESA(능동위상배열) 레이다까지 대한민국 육··공 안보 자산의 다기능레이다를 만들어왔다.

 

김시남기자 ieconomyseoul@naver.com
© 이코노미 서울 & www.jaeconom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67052

뉴스 많이 본 기사

  1. 1홍준표 "헌법재판소 폐지해야…헌법재판부 신설하자"
  2. 2김용빈, 미스터트롯3 상금 전액 고모에게 전달
  3. 3현대자동차, 미국 시사주간지 선정 ‘최고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2년 연속 최다 수상
  4. 4“돌아가도 그 사람과 결혼” 고현정, 재벌 전남편 향한 뜻밖의 속내
  5. 5자연과 회화적 세계의 조화 / 장은선갤러리
  6. 6기아, LG전자와 신개념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PV5 슈필라움’ 선보여
  7. 7삼성전자 ‘에어컨 생산라인 풀가동’으로 AI 에어컨 수요 적극 대응
  8. 8IBK기업은행, 사업자등록 원스톱 서비스 출시
  9. 94만 관중 “정!후!리!” 연호, "바람의 손자" 열광
  10. 10국민의힘 대선경선 선관위원장에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 내정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화시스템,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장사정포요격체계’ 레이다 계약… 총 1315억원 규모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